안녕하세요:)
아이가 갑자기 의식을 잃고 몸을 떨며 경련을 일으키는 모습을 보면 부모는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느낄 수밖에 없죠. 저도 저희 아이가 갑작스런 열경련으로 입원했을 때 너무 당황스럽고 무섭고 걱정되어 울기만 했던 기억이 있어요.
아기들이 열이 난 상태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열경련(발열성 경련)’은 생후 6개월~5세 영유아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대부분의 열경련은 단순한 일시적 증상으로 후유증 없이 회복되며, 적절한 대처법을 알고 있으면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열경련이란 무엇인가?
열경련(발열성 경련)의 정의
열경련이란 고열(38℃ 이상)로 인해 유발되는 발작 증상으로, 주로 생후 6개월~5세 영유아에게 발생합니다. 이는 성인의 간질과는 다른 일시적인 신경 반응으로, 아이의 뇌가 고열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발작과의 차이점
열경련과 간질(뇌전증)과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열경련 : 고열에 의해 유발되며,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경련이 재발하지 않음.
간질 : 체온과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발작이 발생하며, 만성적인 뇌 신경 질환.
열경련의 발생 원인
열경련은 체온이 급격하게 상승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바이러스 감염 (감기, 인플루엔자, 장염 등)
세균 감염 (중이염, 폐렴, 편도염 등)
예방접종 후 발열
유전적 요인 (부모 중 한 명이 열경련 경험이 있으면 발생 확률 증가)
아기 열경련의 주요 증상
열경련의 전조 증상
갑자기 체온이 38℃ 이상 상승
아이가 창백해지거나 축 처짐
눈이 흔들리거나 초점을 잃음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움찔거리는 느낌
열경련이 진행될 때의 증상
몸이 심하게 경직되거나 팔다리가 떨림
입술이 파래지거나(청색증) 호흡이 불규칙해짐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음
대부분 1~3분 내에 저절로 멈춤
열경련 후 회복 과정
경련이 끝난 후 아이는 졸리거나 피곤해 보일 수 있음
짧은 시간 동안 멍한 상태일 수 있음
대개 30분~1시간 내로 정상으로 회복됨

열경련이 발생했을 때 부모가 해야 할 대처법
열경련 중 해야 할 행동
-
아이를 바닥에 눕히고 머리를 옆으로 돌려줌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
-
단추나 옷을 풀어 편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함
-
경련이 시작된 시간을 확인하고 1~3분 내에 멈추는지 관찰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아이를 흔들거나 강제로 깨우려 하지 말 것
찬물로 몸을 닦거나 억지로 해열제를 먹이지 말 것
억지로 기도를 확보하려 손가락을 입에 넣지 말 것
병원으로 가야 하는 경우
-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될 때
-
발작 후 의식을 오래 회복하지 못할 때
-
하루에 두 번 이상 반복될 때
-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얼굴이 심하게 파래질 때
열경련에 대한 오해와 진실
열경련이 지능 저하를 유발한다? →
NO!
열경련 자체는 아이의 뇌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성장과 지능 발달에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혀를 깨물지 않게 해야 한다? →
NO!
열경련 중에는 혀를 깨무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손가락이나 물건을 입에 넣으면 기도가 막힐 위험이 커집니다.
경련 중 아이를 흔들어서 깨워야 한다? →
NO!
경련 중에는 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된 상태이므로 깨우려고 하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알아야 할 핵심 요약
열경련은 생후 6개월~5세 아기들에게 흔하며, 대부분 후유증 없이 회복됨
아이가 열이 날 경우 체온 조절과 충분한 수분 공급이 중요
열경련이 발생해도 침착하게 대처하고,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를 구별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 진료 필요
열경련은 당황스럽지만, 올바른 대응법을 알고 있다면 충분히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미리 대비하고 건강한 습관을 길러 아기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아기 열경련 증상 원인 대처방법 총정리